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은투자 방법 전망 상품 etf

by 부자되는정보 2025. 10. 7.

요즘 투자 커뮤니티나 블로그를 조금만 둘러봐도 ‘은(silver)’ 이야기가 넘쳐납니다.
“금은 너무 비싸서 못 사고, 은이라도 사자.”
“은이 이제는 산업의 핵심 원자재라던데?”
“ETF로 은을 분할 매수하는 게 대세래.”

이 모든 말들 뒤에는 하나의 공통된 흐름이 있습니다.
바로 ‘은의 재평가(Revaluation)’ 시대가 왔다는 사실입니다.


1. 국제 은값, 13년 만의 최고치 

2025년 10월 기준, 국제 은값은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024년 초보다 33% 상승, 같은 기간 금(29%)과 비트코인(22%)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투기적 급등’이 아니라, 실질적인 수요·공급 불균형에서 비롯된 구조적 상승세입니다.

과거에는 금이 불안정한 시기마다 ‘피난처’ 역할을 했지만,
이제는 금의 가격이 너무 높아지면서 ‘대체 안전자산’으로 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 은값 상승의 진짜 이유 - "산업의 중심으로 들어온 은"

은은 더 이상 ‘장식용 금속’이 아닙니다.
현재 전 세계 은 수요의 60% 이상이 산업용입니다.

  • 전기차(EV) : 배터리와 전력 시스템에 은이 필수.
  • ☀️ 태양광 패널 : 전도성과 반사율이 높아 은이 핵심 소재.
  • 🧠 AI 반도체·센서 산업 : 고전도 특성 덕분에 수요 급증.
  • 🧬 의료기기·항균 제품 : 은의 항균성 때문에 은 나노입자가 각광.

결국 은은 ‘산업 수요’와 ‘금융 수요’를 동시에 가진 하이브리드 금속입니다.

문제는 공급입니다.
세계 은 생산량의 약 70%는 구리·금·아연 등의 부산물로 채굴됩니다.
즉, 은의 가격이 올라간다고 해서 바로 생산을 늘릴 수 없습니다.
여기에 환경 규제까지 강화되면서 신규 광산 개발은 사실상 정체 상태입니다.

➡️ 수요는 늘고, 공급은 막혀 있으니 자연스럽게 가격은 상승하는 구조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3. 은 ETF, 실물 대신 선택하는 똑똑한 투자자들

요즘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은 투자 수단은 바로 **ETF(상장지수펀드)**입니다.

✅ 대표적인 글로벌 은 ETF

  • iShares Silver Trust (SLV) — 세계 최대 은 ETF.
  • Aberdeen Standard Physical Silver Shares ETF (SIVR) — 물리적 은 100% 보유형.
  • ETFMG Prime Junior Silver Miners ETF (SILJ) — 은광산 관련 주식 중심.

✅ 한국에서도 등장한 ‘실버 ETF’

국내에서도 TIGER 실버선물 ETF, KODEX 은선물 ETF 등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이들 상품은 CME(시카고 상품거래소) 은 선물 가격에 연동되어 있으며,
실물을 직접 보관할 필요 없이 소액으로 은 가격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장점: 유동성 높고 거래 간편
⚠️ 단점: 환율 리스크, 세금 부담(해외 ETF), 단기 변동성 큼

ETF는 은을 직접 들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지만,
‘실물 프리미엄’이 붙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실물 은괴 투자와 다른 성격을 갖습니다.


4. 투자 전략 -"금 + 은 = 투메탈 전략"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말합니다.

“은은 금의 대체재가 아니라, 보완재입니다.”

즉, 금은 가격 안정성과 가치 저장 수단,
은은 성장성·산업 수요 기반 자산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보고서에서 이렇게 진단했습니다.

“금의 가격이 은의 10배 이상으로 벌어진 지금은, 역사적으로 은이 가장 저평가된 구간이다.”

따라서 금과 은을 함께 보유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구분금(Gold)은(Silver)
주요 용도 안전자산, 가치 저장 산업용 + 투자용
변동성 낮음 높음
수익 기대치 중간 높음
투자 적합성 보수적 투자자 성장형 투자자
추천 전략 장기 보유 분할 매수 + 장기 분산

5. 은 투자시 주의할 점 5가지

  1. 변동성이 금보다 1.5~2배 크다. → 단기 매매보단 장기 투자 권장.
  2. 환율 영향을 크게 받는다. → 해외 ETF는 달러 강세 시 불리할 수 있음.
  3. 세금 구조가 다르다. → 실물은 부가세 부담, ETF는 양도세 부과.
  4. 유동성 차이가 있다. → 실물은 즉시 매도 어렵고, ETF는 즉시 거래 가능.
  5. 시장 심리에 취약하다. → 산업 경기 둔화 시 가격 급락 가능.

6. 2025년~2030년 은 가격 전망

세계적인 투자은행들의 예측을 종합하면,
향후 5년간 은의 가격은 연평균 8~12%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기관2025년 전망 (1온스당)2030년 예상 (1온스당)비고
UBS $32 $45 친환경 산업 수요 반영
Citi $30 $42 금리 인하·AI 수요 영향
JP Morgan $29 $40 공급 제약 지속
하나금융연구소 ₩1,200,000/kg ₩1,800,000/kg 국내 실물 시장 기준

특히 2030년까지 은 공급 부족이 연간 2억 온스 이상으로 예상돼,
중장기적으로는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7. 블로거의 한마디 - "은은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의 자산이다"

은은 단기간의 폭등을 노리는 자산이 아닙니다.
가격이 오르고 내릴 때마다 조바심 내기보다,
“기술혁신 + 산업수요 + 저평가”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믿고 10년을 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ETF를 활용하면 금보다 훨씬 적은 금액으로,
그리고 훨씬 유연하게 은 시장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금은 왕관이고, 은은 미래다.”
— 2025년 투자자들이 새롭게 배우는 진리입니다.


정리 요약

구분 / 핵심 포인트

 

투자 이유 산업 수요 급증 + 공급 제약 + 금의 대체재
투자 수단 실물(은괴), ETF(SLV·SIVR·KODEX 등), 실버 적금
장점 저평가, 소액투자 가능, 친환경 산업 성장 수혜
단점 높은 변동성, 세금 부담, 환율 리스크
전략 장기·분산 투자, 금과 병행(투메탈 전략)
전망 2030년까지 공급 부족 지속 → 가격 상승세 유력